1. 초미세먼지(이하 PM2.5) 농도 개선 성과
(전국) 2차 계절관리제(‘20.12~’21.3월) 기간 평균 농도 및 좋음/나쁨 일수 모두
최근 3년(‘17.12~’20.3월) 및 1차 기간 대비 개선
(지역) 수도·충청권과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농도 개선* 뚜렷
*[평균 농도 35㎍/㎥ 초과 시군 비율] (최근3년)15% → (2차 계절관리제 기간) 0%
2. 초미세먼지 노출도 개선 성과
(나쁨 감소) 나쁨(36㎍/㎥) 이상 시간평균농도의 발생빈도가 감소*
*(최근3년)28→(1차)19→(2차)19%
<계절관리제 기간 PM2.5 농도 누적분포>
※(시간평균농도 누적분포) 4개월간 시간평균농도 자료(약 3천개)를 오름차순으로 나열한 자료
(좋음 증가) 12시간 이상 지속 횟수와 평균 지속시간 모두 뚜렷한 증가 추세
*(최근 3년) 16회, 29시간 → (1차) 20회, 33시간 → (2차) 25회, 36시간
<계절관리제 기간 좋음 등급 지속 현황>
(수도권 노출 감소) 서울의 질소산화물(NO2) 농도*가 감소하고, 출퇴근 시간대의
원소탄소(자동차 배출 영향 추정 지표) 농도**도 감소
*[도로변측정망 질소산화물 농도] (계절제 시행 전) 0.046 → (2차) 0.039ppm
**[출근 시(9~12h) 원소탄소 농도 증가폭] (계절제 시행전) 0.5 → (1차) 0.3 → (2차) 0.2㎍/㎥
3. 정책추진 주요 실적
(주요 저감 정책) 발전ㆍ산업ㆍ수송ㆍ생활 부문별 저감조치 실시
(물질별 감축 실적) PM2.5(직접) 6,237톤, 황산화물 42,184톤, 질소산화물 52,834톤,
휘발성유기화합물 20,705톤 감축
보령화력 1ㆍ2호기 폐지(´20.12월)로 석탄발전 가동정지 효과 확대
※석탄발전 가동정지ㆍ상한제약의 경우 온실가스 약 8백만톤 감축 효과수도권 5등급차 운행률* 단계적 감소
*5등급차 운행제한 운행률 (12월) 67% → (1월) 46% → (2월) 46% → (3월) 40%계절관리제 시행 전 배출량 | 제 2차 계절관리제 감축량 | |
합계 | 910,512 | 121,960 |
PM2.5(적접) | 33,416 | 6,237 |
황산화물 | 119,650 | 42,184 |
질소산화물 | 416,103 | 52,834 |
휘발성유기화합물 | 341,343 | 20,705 |
계절관리제 시행 전 대비 오염물질별 감축량 (단위: 톤)